존 윌리엄스(John Williams)의 소설 <스토너(Stoner)>는 1965년 출간된 후 한동안 잊혀졌다가 21세기에 들어 다시 주목받으며 문학계에서 재평가된 작품이다. 이 소설은 화려한 성공을 거두지 못한 한 평범한 교수의 삶을 조용하고 담담하게 그려내며, 인생의 의미와 문학의 힘을 되새기게 한다. 겉보기에는 단순한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이 작품이 주는 감동과 여운은 깊고도 강렬하다.
이 글에서는 <스토너>의 줄거리, 배경, 등장인물, 그리고 도서평을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하여 이 작품이 왜 현대 문학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자리 잡았는지 살펴보겠다.
1. 소설 '스토너'의 줄거리
윌리엄 스토너는 미주리 주의 작은 농가에서 태어나 부모님의 기대에 따라 미주리 대학에 입학하게 된다. 그의 부모는 그가 농업을 배우고 돌아와 가족의 농장을 이어가기를 바랐지만, 대학에서 문학을 접한 스토너는 그 매력에 사로잡혀 영문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한다.
대학에서 공부를 이어가며 그는 교수의 길을 선택하고 학자로서의 삶을 살아간다. 그러나 그의 삶은 순탄치 않다. 그는 사랑이라 믿고 결혼한 에디스와 행복한 관계를 맺지 못하며, 가정생활은 점점 삐걱거리기 시작한다. 에디스는 감정적으로 냉정하며, 남편과의 관계에서 점점 더 단절된 태도를 보인다.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딸 그레이스는 어머니의 영향 아래 성장하며, 아버지와의 관계에서도 거리를 두게 된다. 스토너는 딸을 사랑하지만, 결국 그녀를 지켜주지 못하고 그녀는 점점 더 어머니의 뜻에 따르는 삶을 살게 된다.
대학 내에서도 그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다. 학문적으로는 뛰어난 자질을 가졌으나, 대학 내 정치와 권력 싸움에서 그는 항상 불리한 위치에 놓인다. 특히 동료 교수인 롬바르도와의 대립은 그의 학문적 여정을 더욱 힘들게 만든다. 그는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려 하지만, 현실적인 벽에 부딪히며 점점 더 고립된 존재가 되어 간다.
그러던 중, 그는 캐서린이라는 제자와 사랑에 빠진다. 캐서린은 그에게 학문적 열정과 삶의 희망을 되찾아 준다. 하지만 이 관계도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결국 두 사람은 헤어지게 된다. 사랑마저도 지켜내지 못한 스토너는 다시 혼자 남게 되고, 결국 병을 얻어 생을 마감한다.
그의 삶은 대단한 성공도, 특별한 업적도 없는 평범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문학을 사랑하며 자신의 길을 걸었다. 그의 삶은 조용했지만, 결코 무의미하지 않았다.
2. 소설의 배경
이 소설은 20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의 미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주요 무대는 미주리 주의 한 대학이며,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주인공이 도시에서 학자로 살아가는 과정이 묘사된다.
스토너가 살아간 시대는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이 벌어진 시기이지만, 그는 정치적·사회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 대신 그는 학문과 개인적인 관계 속에서 자신의 삶을 구축해 나간다. 당시 미국 사회에서 학문적 권위와 대학 내 정치적 갈등이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이 소설은 조용하지만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다.
특히 이 소설은 대학이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인간관계를 그려내고 있으며, 학문이 주인공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보여준다. 또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한 개인이 어떻게 적응하거나 고립되는지를 조명한다.
3. 주요 등장인물
① 윌리엄 스토너 (William Stoner)
이 소설의 주인공으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문학을 공부하고 대학 교수가 된다.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이며, 학문을 사랑하지만 인생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한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자신의 길을 지키며 삶을 살아간다.
② 에디스 (Edith Stoner)
스토너의 아내로, 감정적으로 냉정하고 남편을 이해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결혼 생활 내내 스토너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며, 딸인 그레이스를 자신의 방식대로 통제하려 한다.
③ 그레이스 (Grace Stoner)
스토너와 에디스의 딸로, 부모의 불행한 결혼 생활 속에서 방황한다. 그녀는 아버지를 사랑하지만, 결국 어머니의 영향 아래에서 살아가게 된다.
④ 고든 핀치 (Gordon Finch)
스토너의 대학 동기로, 졸업 후 대학 행정직에서 일하며 안정적인 경력을 쌓는다. 그는 스토너에게 우호적인 인물이지만, 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타입이다.
⑤ 홀리스 롬바르도 (Hollis Lomardo)
스토너의 직장 동료로, 그와 대립하는 주요 인물이다. 그는 대학 내에서 권력을 행사하며 스토너를 몰아세운다.
⑥ 캐서린 드리스콜 (Katherine Driscoll)
스토너의 제자로, 그와 깊은 사랑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두 사람의 관계는 끝내 지속되지 못하고 헤어지게 된다.
4. 도서평 및 작품의 의미
<스토너>는 화려한 성공담이 아니라, 평범한 한 인간의 삶을 통해 인생의 의미를 조용히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 소설이 감동적인 이유는, 위대한 업적 없이도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스토너는 문학을 사랑했으며, 그 사랑이 그의 삶을 이끌었다. 그는 가정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사랑에서 실패를 경험했지만, 끝까지 자신의 길을 걸었다. 그의 삶은 조용하고 고독했지만, 그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충실한 삶을 살았다.
이 소설은 출간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재발견되면서 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이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성공'의 개념을 다시금 돌아보게 만든다. 단순한 삶 속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현대 독자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준다.
......결론
존 윌리엄스의 <스토너>는 평범한 한 남자의 삶을 통해 우리에게 인생의 의미를 묻는 작품이다. 화려한 이야기 없이도 강렬한 감동을 주는 이 소설은,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작품 중 하나다. 이 글을 통해 <스토너>의 줄거리와 주요 내용을 깊이 있게 살펴보았으며, 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더 깊은 감동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