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기태 작가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 줄거리,배경,등장인물,도서평,결론

by redbull-1 님의 블로그 2025. 3. 19.

김기태작가'두사라의 인터내셔널'책표지

김기태 작가의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과 관계의 의미를 탐색하는 작품이다.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를 통해, 국경을 넘어선 소통과 이해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이 소설은 현실적이면서도 감성적인 문체로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얻으며, 인간관계 속에서의 갈등과 성장을 깊이 있게 그려내고 있다.

1. 줄거리

소설은 한국인 ‘정우’와 일본인 ‘나오코’가 국제 컨퍼런스에서 처음 만나면서 시작된다. 정우는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로 다국적 기업에서 근무하며, 국제적인 환경에서 일하는 것에 익숙한 인물이다. 반면, 나오코는 일본의 전통적인 기업 문화에서 일하다가 새로운 도전을 위해 국제적인 무대로 진출한 인물이다.

처음에는 업무적인 관계로 시작되지만,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가치관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는다. 하지만 점차 서로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공통점을 찾으며 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

소설은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서, 두 사람이 겪는 문화적 충돌과 갈등, 그리고 서로를 통해 성장하는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한다. 정우는 나오코를 통해 보다 유연한 사고방식을 배우게 되고, 나오코는 정우를 통해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법을 익힌다.

이들의 관계는 단순한 사랑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이 만나면서 서로의 세계를 넓혀가는 과정이다. 소설은 마지막에 열린 결말로 끝나며, 독자들에게 관계의 본질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한다.

2.배경

-. 시간적 배경

이 소설은 현대를 배경으로 하며, 디지털 시대 속에서 변화하는 인간관계의 양상을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이 관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공간적 배경

이야기의 주요 배경은 한국, 일본, 그리고 유럽 여러 나라다.

  • 서울: 정우가 일하는 다국적 기업의 본사가 위치한 곳으로, 바쁜 도시의 삶과 글로벌 비즈니스의 치열함을 보여준다.
  • 도쿄: 나오코의 직장이 위치한 곳으로, 일본 특유의 기업 문화와 조직 중심적인 사고방식이 강조된다.
  • 유럽(파리, 런던): 두 사람이 함께 출장이나 여행을 다니며 서로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되는 장소. 서구적 가치관과 자유로운 분위기가 두 사람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다양한 배경은 주인공들이 성장하는 과정과 문화를 넘어선 관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3. 등장인물

정우 (한국인 남성, 34세)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로, 논리적이고 효율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현실주의자다. 해외에서의 경험이 많아 여러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만, 나오코와의 관계를 통해 감성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변화하는 인물이다.

나오코 (일본인 여성, 32세)

일본의 전통적인 기업에서 일하다가 해외 진출을 결심한 커리어우먼이다. 신중하고 차분한 성격이지만, 새로운 환경에서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정우와의 관계를 통해 보다 개방적이고 자신감 있는 사람이 되어간다.

마이클 (미국인, 40세)

정우의 상사로, 글로벌 비즈니스 경험이 풍부한 인물이다. 유머러스하면서도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는 멘토 역할을 하며, 정우와 나오코가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유리 (프랑스인, 35세)

나오코의 친구이자 직장 동료로,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나오코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인물이다. 나오코가 정우와의 관계에서 망설일 때 조언을 해준다.

4. 도서평

<문화적 차이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은 단순한 연애소설이 아니라, 다문화 사회에서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조화를 깊이 있게 다룬다.

특히 정우와 나오코가 각자의 문화적 배경 때문에 오해하고, 갈등을 겪지만 결국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우는 업무에서 직설적인 피드백을 주는 반면, 나오코는 일본식으로 에둘러 말하는 습관이 있어 갈등이 생긴다. 이러한 작은 차이들이 관계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현대적인 연애와 인간관계를 다룬 소설>

이 작품은 디지털 시대에서의 관계 형성을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메시지 하나에도 서로 다른 해석을 할 수 있고, 물리적인 거리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또한, 직장과 개인적인 삶의 균형을 고민하는 현대인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어, 독자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다.

<열린 결말의 여운>

이 소설은 뚜렷한 결말을 내리지 않는다. 두 사람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는 독자들에게 맡겨진다. 이는 현실에서도 모든 관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열린 결말은 독자들에게 각자의 경험과 감정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긴다.

5. 결론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은 글로벌 시대 속에서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과정을 감성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서구적 사고방식이 서로 충돌하고 조화를 이루는 모습은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소설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생기는 갈등과 해결 과정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글로벌 환경에서 일하거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싶은 독자들에게 강력 추천하는 작품이다.